2023년 2월 10일 금요일 간추린 뉴스
한 주 동안 고생 하셨습니다. 비오는 금요일 감기 조심 하시고 즐거운 주말 되세요 ^^
● 국민의힘 전당대회 예비경선에 통과해 본경선에 진출하는 당 대표 후보 4명, 최고위원 8명, 청년 최고위원 4명의 명단이 공개됩니다. 예비경선을 통과한 후보들은 전국 순회 합동연설회와 방송토론을 거쳐 다음 달 8일 서울 잠실 체조경기장에서 본경선을 치르게 됩니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오늘 오전 대장동 의혹과 관련해 서울중앙지검에 두 번째로 출석해 조사를 받습니다. 200쪽이 넘는 질문지를 준비한 것으로 알려진 검찰은 구체적인 답변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이 대표는 1차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서면진술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 도이치모터스 주가를 조작한 혐의를 받는 권오수 전 회장과 관련자들이 오늘(10일) 법원의 1심 판단을 받습니다. 선고 결과에 따라, 이들의 주가조작에 가담했단 의혹을 받는 김건희 여사에 대한 검찰 수사도 큰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 아들에게 준 50억 원 퇴직금은 뇌물이 아니라는 곽상도 전 의원의 무죄 판결에 대해 전현직 판사 등 법조인들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분가했다고 해서 아들이 경제공동체가 아니라고 본 대목을 두고 의아하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 미국 정부가 중국이 전 세계 40개국 이상에 띄운 정찰풍선의 배후로 중국군을 지목한 가운데 미국 하원은 주권을 침해당했다며 규탄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중국의 풍선에는 정보수집을 위한 다중 안테나가 실려 있는 것으로 파악돼 미국 측은 관련된 업체에 대해 제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 튀르키예와 시리아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2만 명을 넘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를 넘어섰습니다. 골든타임이 지나면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지만 대한민국 긴급 구호대가 생존자 5명을 구조하는 등 기적 같은 구조 소식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 튀르키예에선 정부의 '늑장, 부실 대응'에 대한 분노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진에 대비하겠다며 20년 넘게 걷어간 이른바 '지진세'가 어디에 쓰였느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 돈 5조 8천억 원 상당을 징수한 걸로 추정되는데, 구체적인 사용처는 공개된 적 없습니다.
● 지난 8일 밤 북한에서 열렸던 인민군 창건 기념일 열병식에서 신형 ICBM만큼이나 관심을 모았던 건 김정은 총비서의 딸 김주애였습니다. 귀빈석에 자리를 잡은 김주애는, 열병식 도중 주석단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일각에서는 김정은의 후계자로 내정됐다는 관측도 나오는데, 통일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최근 프랑스 정부가 창고마다 넘쳐나는 적포도주의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이를 화장품과 약품 생산에 쓰이는 원료용 알코올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포도주 농가의 생산량은 넘쳐나는데, 코로나19 이후 식당과 술집이 대거 문을 닫으면서 내수 시장 소비량이 뚝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 인천의 한 편의점에서 전자발찌를 차고 있던 30대 남성이 가게 주인를 살해하고 달아나 얼굴과 신상이 공개됐습니다. 이 남성은 과거 여러 건의 절도와 강도 혐의로 10년 동안 전자발찌 착용을 명령받았지만, 범행 뒤 발찌를 끊고 사라졌습니다.
2023년 2월 10일 금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1. 보험사가 쇼핑몰·홈쇼핑·카드사 등서 사들인 개인정보 332억 → 5년 전보다 5배 이상 급증. 소비자 정보를 사고파는 것 자체는 위법이 아냐. 회원가입이나 이벤트 응모 때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면 이름, 주소 등 개인정보는 다른 기업에 넘어갈 수 있다.(헤럴드경제)
2. 코로나 백신도 독감처럼 매년 접종? → 정례화 되면 고위험군은 1년에 2번, 일반인은 1년에 1번 접종을 할 가능성 높아. 그러나 유행 변이종 예측에는 연구가 더 필요하고 가격도 독감보다 비싸 넘어야 할 산 많다는 의견.(아시아경제)
3. 결식아동 식비 1끼 8000원, 1일 2만4000원... → 1끼 단가가 현실 물가를 반영하지 못해 대상 아동들이 주로 편의점을 이용한다는 기사. 그러나 달린 댓글들은 일반 직장인도 그 정도 수순의 식사를 한다는 의견...(아시아경제)
4. 전체 성인의 78%, 한달에 한 번 이상 또는 두 달에 1~2회 등산, 숲길 체험... → 2021년(77%)보다 1% 증가한 수치. 20대는 2018년 이후 지속해서 줄어드는 경향. 등산은 가족(39%), 혼자(32%)한다는 비율 많아. 산림청 1800명 조사.(아시아경제)
5. 오른 난방비, 식비... 독립 생활하던 청춘들, 다시 집으로 → 고물가에 고금리 등을 견디지 못해 독립생활을 접는 취업준비생, 새내기 직장 등을 가리키는 신조어 ‘리터루족’(리턴+캥거루족)도 등장.(문화)
6. 아구찜? 아귀찜? → 표준국어대사전 표준말은 ‘아귀찜’이 맞다. ‘굶어 죽은 귀신’(아귀, 餓鬼)에서 온 이름이라지만 자산어보에는 ‘아구어’(餓口魚)로 나온다. 일제강점기부터 마산에서 ‘아구찜’으로 먼저 자리를 잡은 것이 식용의 역사라는 설이 유력하다.(문화 외)
7. ‘부족한 점이 있지만, 이렇게 큰 재난에 준비돼 있기는 불가능하다’ → 지진 발생 후 3일 만에 처음 찾은 재난 현장에서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취재진에 한 말. 5월 총선 방어에만 급급하다는 비판.(경향)
8. 구글AI 틀린 답변하나에 주가 7.7% 급락? → 구글의 대화형 인공지능(AI) ‘바드’, 우주 망원경 ‘제임스 웹’을 묻는 질문에 대해 ‘태양계 밖 행성을 처음 촬영한 망원경’으로 엉터리 답변. 경쟁사들의 AI와 비교되면서 하루 새 시가총액 126조 증발.(동아)
9. 요리 고수들도 쓴다는 ‘참치액’, 우리나라가 원조 → 제주도에 기반을 두고 훈연참치를 제조하던 한라식품이 1999년 시판용 참치액을 개발해 세상에 내놨다. 현재는 CJ제일제당, 대상, 동원F&B, 사조 등 대형 식품기업들도 참치액을 출시해 참치액 시장은 현재 400억원 규모로 확대됐다.(한경)
10. ‘수저’ → 본래 한자말 ‘시저’(匙箸, 숟가락 시 / 젓가락 저)가 변한 말로 숟가락과 젓가락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지만 ‘금수저’, ‘흙수저’처럼 숟가락만을 가리킬 때도 쓴다.(중앙, 우리말 바루기)
2023년 2월 10일 금요일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1. 선진국 도시들은 IT 분야 등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WLP 도시’로 삶의 질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음. 뉴욕의 경우 ‘현대공원의 대명사’인 센트럴파크 외에도 하이라인 파크, 거버넌스 아일랜드, 리틀 아일랜드 등 20여 개가 넘는 공원을 곳곳에 배치하며 직주락 근접도시를 만들고 있음. 서울시는 ‘2040플랜’에서 서울 각지에서 접근성 좋은 용산공원(현재 용산미군기지)을 중심축에 놓고 한강과 지천을 따라 퍼지는 동선을 공원으로 조성해 촘촘한 생활권 망을 구축하기로 했음. 서울시가 9일 발표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방안’도 같은 맥락임. 용산구 노들섬에 혁신적인 디자인을 적용해 수상예술무대 등을 지어 ‘예술섬’으로 조성할 계획임.
2. 시중금리가 하락세에 접어들고 통화긴축이 마무리 수순이라는 인식이 시장에 퍼지며 지난해부터 이어진 ‘역(逆) 머니무브’가 방향을 선회하고 있음. 은행 수신자금은 빠른 속도로 이탈했고, 머니마켓펀드(MMF) 등에 대한 투자금액은 늘어나는 등 투자처를 찾는 자금흐름이 감지되고 있음.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예금은행의 수신잔액은 2198조원으로 전월보다 45조5000억원이 감소했음. 지난해 4월~11월간 연속 증가한 뒤 두달 연속 감소세임. 특히 수시입출식예금은 한달만에 59조5000억원이 빠져나가며 2002년 1월 통계 집계 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음.
3. KT 이사회가 구현모 대표이사 연임을 확정했던 의결을 백지화하고 후보를 원점에서 재공모하기로 결정했음. 이사회는 지난해 두 차례 회의를 거쳐 구 대표를 차기 대표이사 후보로 확정했음. 하지만 심사 과정이 불투명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정부 쪽에서 소유분산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자 돌연 결정을 뒤집은 것임. 9일 KT 이사회는 공개 경쟁 방식으로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재추진한다고 밝혔음. 이사회는 10일부터 지원자 모집을 시작하고, 후보자 명단과 단계별 심사 결과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했음. 구 대표는 공개 경쟁에 다시 응해 연임에 도전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재 분위기로 볼 때 연임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4. 구글이 챗GPT 대항마로 인공지능 챗봇인 ‘바드(Bard)’를 부랴부랴 공개했다가 거센 역풍을 맞았음. 바드가 공개석상에 잘못된 답변을 내놓자 AI 성능에 의구심이 일었고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주가는 8일(현지시간) 7.68% 폭락했음. 문제 하나에 오답을 낸 대가로 하루새 시가총액 1056억달러(약 133조원)가 증발한 것임. 시연회에서 버드는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에 대한 질문에 “태양계 밖 행성 사진을 ‘최초로’ 찍는 데 사용됐다”고 답변하는 실수를 저질렀음. 유럽천문대가 찍은 사진이 이미 있었기 때문에 오답임. 챗GPT가 구글이 장악한 검색엔진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관측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알파벳 투자자들은 큰 실망감을 드러냈음.
5. 공정거래위원회가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폭스바겐 등 독일 자동차 4사가 배출가스 저감기술(SCR)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요소수 분사량을 줄이는 소프트웨어를 도입하기로 합의한 행위에 대해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시정명령과 과징금 총 423억원(잠정)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음. 벤츠 207억원, BMW 157억원, 아우디 60억원 등임. 폭스바겐에 대해선 이번 사안과 관련된 자동차가 국내에 판매되지 않아 시정명령만 부과하기로 했음. 공정위의 이번 조치는 연구개발(R&D)과 관련한 사업자들의 행위를 담합으로 제재한 최초 사례이자 외국에서 이뤄진 담합이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위법성을 입증한 사례임. 해외에서는 EU와 튀르키예가 이들 회사의 친환경 기술 관련 담합에 대해 제재한 바 있음.
2023년 2월 10일 금요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 “한 번에 내기 너무 벅차요”…분납 신청 7만명 육박하는 ‘종부세’...분납 신청자 2017년比 24배↑...1인당 평균 신청액 2200만원
☞ 부산은행장 후보 18명 등 BNK 자회사 1차 후보군 확정...경남은행장 21명 등 대표 후보군 확대...재직 2년 이상 임원과 퇴직 임원도 포함
☞ 슈퍼카 자랑하던 인기 웹툰작가...인건비 빼돌리고 세금 탈루?...유튜버·인플루언서등 84명 세무조사...1인 기획사 세워 수입금 쪼갠 연예인...해외대회 상금 세금탈루 프로게이머
☞ 말 많고 탈 많은데...국민연금 개혁 여전히 ‘제자리 걸음’...국회·민간자문위 회동...소득대체율 놓고 이견 못좁혀...4대연금 구조개혁부터 논의...尹 속도전에도 장기전 우려...정부안 나오는 9월까지 연구
☞ “수입산, 이 정도로 많았어?”...흔들리는 ‘제조 강국’ 위상...통계청 제조업 국내공급동향...車 ·전자제품 등 주력 품목...수입산 비중 68%나 달해...국산 0.4% 줄어드는 동안...수입산은 무려 9.2% 증가
《금 융》
☞ "LG전자 최선호주" 증권가 목표주가 상향...전장사업 흑자전환 가시화...LG이노텍은 XR 수혜 기대..."LG디플도 최악구간 지나"
☞ "가격 괜히 올렸나"… 멕시칸음식점 치폴레 '매운맛'...가격인상에 매출·주가 뚝뚝...저가 출시 타코벨은 호실적...'합리적 가격' 주가에 긍정적
☞ 트러스톤운용 “태광산업 배당성향 20%로 높이고 액면분할해야”...“2년 평균 배당성향 0.3% 불과”...현금성자산 3조원 여력충분 주장
☞ KT&G. 지난해 매출 5.9조…"연결·별도 실적 모두 최대"...영업이익은 판관비 증가로 5.3% 감소...궐련형 전자담배 스틱 점유율 47.5%로 1위
☞ 보험사 책임준비금 외부검증 개선 TF 구성…킥오프 회의...IFRS17 도입으로 책임준비금 검증 중요해져...자율규제 개선·계리법인 책임강화 방안 마련키로...업계·관계부처 협의 거쳐 상반기에 최종안 확정
《기 업》
☞ 캐스퍼, 판매 줄고 재고 쌓여…'광주형 일자리' 시험대...출범 2년 반 만에 첫 고비...지난달 판매 3070대 그쳐...전년 동기보다 22% 줄어...경기침체로 재고도 2천대...부진 계속땐 현대차에 부담
☞ 이재용의 '뚝심' 통했다…삼성, 日KDDI에 5G 통신장비 또 공급...JY 힘 실린 '플래그십 사업'...진입장벽 높은 日시장 뚫어..."높은 5G기술 리더십 입증"...글로벌 네트워크 총동원해...5G 넘어 6G도 선제적 대비
☞ 韓기업 기후관리 대응 부진…A등급 300곳 중 5곳에 불과...RE100 주관기관 CDP 발표...SK실트론·현대위아등 A등급...日기업은 76곳 받아 가장많아
☞ 고물가 한파에도 … 편의점은 잘나갔다...지난해 4분기 편의점 실적...유통업계 한파뚫고 반등 성공...따뜻한 날씨·월드컵 호재
☞ 싱가포르서도 'K-밀키트'로 닭도리탕 먹는다...국내 밀키트 1위 기업 프레시지...싱가포르 밀키트시장 공략 박차...4월부터 현지 생산 본격 가동...현지 온라인몰에 100여종 공급
《부 동 산》
☞ 한국내 자산 2조5천억…부동산 큰손 떠오른 하인즈...레이먼드 롤러 아태 대표...부산 해운대 74층 빌딩 투자...양자컴퓨터 등 첨단기업 유치..."2030년 韓운용자산 5조 목표"
☞ "1기신도시 특별법 효과내려면 정부가 이주대책도 마련해야"...지자체장, 元장관에 호소..."용적률 500% 환영하지만...주거환경 악화될까 우려"
☞ 송파 헬리오시티 한달새 20건 거래…1.3대책 효과 '모락모락'...서울 대단지 위주로 거래 증가...특례보금자리론 30% 신규 구입...경매 낙찰가율도 30%대로 올라...아파트값은 하락폭 다시 커져..."역전세난 지속땐 반등 힘들어"
☞ 부동산 큰손 떠오른 하인즈...“2030년 한국 운용자산 5조원 목표”...레이먼드 로우러 아태지역 대표 인터뷰...양자컴퓨터 앞세운 부산 ‘퀀텀 콤플렉스’...“최첨단 기술 토대로 한 복합시설 개발”
☞ “한 번에 내기 너무 벅차요”…분납 신청 7만명 육박하는 ‘종부세’...분납 신청자 2017년比 24배↑...1인당 평균 신청액 2200만원
《사 회 유 통》
☞ "전쟁고아 품어준 튀르키예군, 어찌 잊으리오"...오수업 앙카라형제회 회장...6·25 참전 튀르키예 군인들...1951년 '앙카라학원' 세우고...전쟁통 부모손 놓친 고아 수용...1966년까지 640명이 거쳐가...지난달 기념사업회 출범
☞ 이상민 '운명의 180일'… 위법 여부가 핵심...헌재로 넘어간 이상민 탄핵안...늦어도 6개월안에 판결 내려야...재판관 9명 중 6명 찬성 필요...퇴임 앞둔 재판관 2명은 변수...법조계선 기각 결정에 무게
☞ 대구 '70세이상 무임승차' 단계적 시행...버스 75세서 한살씩 내리고...지하철 65세서 한살씩 높여...2028년부터 70세 전면 적용
☞ “1억 갚아라” 독촉한 의사 죽이고 암매장한 40대女...징역 30년으로 감형...1심 무기징역에서 감형...부산고법 “반성하고 재범 위험성 크지 않아”...살해한 뒤 밭에 묻어...시신 꺼내 지장 찍는 엽기 행각도 벌여
☞ 경북도, 선박용 소형원자로 산업 본격 육성…해양선박 탄소중립 대응...한국원자력硏·HMM 등 9개 기관과 업무협약...선박용 SMR(소형원자로모듈) 기술개발 협력
《국제》
☞ 옐런 美재무장관, LG엔솔·GM 합작공장 방문해 IRA 성과 강조...연설서 한화솔루션·SK온 공장도 언급...LG엔솔, 수주 잔액 1년 만에 125조원 증가...IRA 훈풍에 LG엔솔, 북미 시장 공략 가속
☞ 영국 “MS 블리자드 인수 안돼”...미국 이어 영국 “업계 경쟁력 악화”...MS 최대 687억달러 M&A 불발되나...블리자드 “업계는 일본과 중국이 지배”
☞ “러시아 우크라 침공, 다 이유가 있다”…서방 분노케한 英유명가수...‘핑크 플로이드’ 워터스 유엔 안보리서 연설...“러 침공 아무런 이유 없이 이뤄진거 아냐”...“서방 우크라 무기 지원 부당하다” 주장
☞ “뭐야 왜 이렇게 비싸?”...오렌지주스 가격에 무슨 일이...역대 최고가 뛰어넘은 오렌지주스...플로리다산 오렌지 급등 영향 탓...“부족한 물량, 브라질 수입해 해결”
☞ “북한, 김정은 딸 호칭 대단하네”…사랑하는→존귀하신, 다음은?...장성 병풍 속 센터 자리 앉은 김주애...WP, 후계자 가장 분명한 신호...정성장 실장 “수령에 대한 충실성 자질 중요”...남자 여자는 중요치 않아
2023년 2월 10일 금요일 부동산 뉴스
■서울 아파트값 6주 만에 다시 하락폭 확대
-서울 아파트값 0.31% 하락해 전주(-0.25%)보다 낙폭 커져
-경기(-0.75%)와 인천(-0.51%), 화성시(-1.51%), 인천 부평구(-0.69%)
-"매도-매수 희망가격 격차 여전"
-전셋값도 매물 적체로 낙폭 커져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20914303427463
■최소 2억 시세 차익…성남 무순위 '줍줍' 경쟁률 1000대 1
-'신흥역 하늘채 랜더스원' 6가구 모집에 6593명 지원
-분양권·입주권보다 2억 원 이상 낮은 분양가 때문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OLYCLDC
■늘어나는 조합원 매물…'분양가 > 입주권' 단지 속출
-광명 철산자이 전용 114㎡ 조합원 입주권 12억에 거래
-부천·수원서도 차익 매물 급증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20968651
■세입자들 "보증금 못 받아"…서울 강제경매, 1년새 24%↑
-고금리 등 영향…1월 6877건
-빌라 많은 화곡동 983건 최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20968631
■"1기신도시 특별법 효과내려면 정부가 이주대책도 마련해야"
-지자체장, 元장관에 호소
-"용적률 500% 환영하지만 주거환경 악화될까 우려"
https://www.mk.co.kr/estate/news/2023/116881?_ga=2.45973604.1764315514.1675958604-685748345.1628416431
■외국인 토지 대량 매집...'투기의심 920건' 기획조사
-국토부 등 관계부처 합동 10일부터 착수
-외국인 토지 거래비율 중국인(54.9%), 미국인(23.2%), 캐나다인(6.3%) 순
-외국인 '토지' 거래 중 업·다운계약, 명의신탁, 편법증여 등 투기성 거래 조사
https://www.fnnews.com/news/202302091328513415
■전월 은행 가계대출 4.6조원↓…19년 만에 최대폭 하락
-전체 금융권 주담대도 8년 만에 처음 줄어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945
■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 8.2%로 치솟아
-금융권 전체 연체율은 0.9% 수준
-금감원 “부실우려, 예의 주시 중”
https://www.chosun.com/economy/2023/02/10/VLRSYFAR2ZEDBIA6A2KOI32I2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한남동 한성 '조합 재건축' 시동
-준공 50년 된 대표 노후단지
-서울 '신탁 1호' 추진하다 포기
-조합 설립위한 주민공람 시작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20968621
■서대문구 첫 재건축 아파트 나온다
-'DMC한양' 안전진단 통과
-준공 35년…규제완화 수혜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20968601
■노들섬을 서울 랜드마크로…혁신건축엔 용적률 1.2배 인센티브
-오세훈표 '디자인 서울' 재시동
-공공건축물에 사전공모 도입, 디자인 우선 행정시스템 구축
-노들섬 1호 혁신사업지로 선정
-보행교·수상예술무대 등 조성, 서울형 용도지역제 운용기준 마련
-성냥갑 아파트 퇴출·초고층 허용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OO438ER/GB07
■도봉구, 방학3동 신동아1단지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
-정밀안전진단 결과 E등급, 적정성 검토 없이 재건축
'간추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2월 16일 목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16 |
---|---|
2023년 2월 15일 수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15 |
2023년 2월 14일 화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14 |
2023년 2월 13일 월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13 |
2023년 2월 9일 목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09 |
2023년 2월 8일 수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08 |
2023년 2월 7일 화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07 |
2023년 2월 6일 월요일 간추린 뉴스 (0) | 2023.02.06 |